과학기술이 어렵다고? [1탄]
게시글 주소: https://app.orbi.kr/00062758744
오랜만에 국어 칼럼으로 왔습니다.
15 수능 B형 슈퍼문 지문에 관한 얘기를 하려고 합니다. 특히 2문단을 읽을 때, 독해하기 어려웠지 않았나요? 그리고 2문단의 마지막 문장을 어떻게 처리하셨나요? 대부분 도식화하거나 비례 관계를 체크하고 넘어갔을 겁니다.
그러나,
이 문장은 도식화할 필요도, 체크할 필요도 없습니다.
위 문장은 “동어 반복 문장” 수준으로 다가와야 합니다.
?????
또한 평가원은 2문단을 통해 아래의 행동 영역 중 3가지(형광펜)를 측정했다고 봅니다.
출처: 22학년도 수능 예시 문항 안내 13page
떡밥을 던졌으니, 회수하러 가야죠?
2문단의 첫 문장부터 읽어봅시다.
<<타원은 두 개의 초점이 있고 두 초점으로부터의 거리를 합한 값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이다.>>
이 정의를 처음 만나면 받아들이기 벅찹니다.
이럴 때는 체크만 하시고, 다음 문장 읽어도 괜찮아요. 다만, 다음 문장을 읽을 때, 정의의 한 요소라도 이어 붙이려고 노력해야겠죠.
다음 문장으로 가봅시다
<두 초점이 가까울수록 원 모양에 가까워진다.>
정의는 소화하기 어려웠는데, 타원의 정의 중 “두 초점”에 포커싱하네? 라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첫 문장에서 “두 초점이 있고, 두 초점으로부터 ~ ”라고 했는데, 첫 문장에서 “두 초점이 있고”라는 표현을 빼더라도 정의하는 데 문제가 없었습니다. 필자는 애초에 첫 문장을 쓸 때부터 타원의 정의 중 “두 초점”에 무게를 둔 거죠.
그런데 이 문장이 정적인가요? 동적인가요?
동영상처럼 그려볼 수 있나요?
제 머릿속엔 아래 그림처럼 떠올랐습니다.
왼쪽 그림을 먼저 보세요.
두 초점이 가까워지다가
완전히 겹치면 어떻게 되나요?
겹쳐진 두 점이 한 점이 되고,
그 점이 원의 중심이 되겠죠?
반대로 오른쪽 그림처럼
원이 중심이 둘로 쪼개어 분리되면서
원에서 타원으로 바뀌어 가죠?
원은 타원보다 친숙한 존재죠? 필자는 타원이 생소하니 "원과의 관계"를 생각해 보라고 한 겁니다. 2번째 문장에서 어떤 능력을 평가했는지 살펴볼까요?
두 번째 문장을 통해 “정보 간의 관계 파악 능력”과 “직접 명시되지 않은 정보의 논리적 추론 능력”을 평가한 겁니다. 위처럼 과학기술 지문을 읽을 때 "기하적 표상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 능력을 활용해 관계를 파악하고, 논리적 추론까지 할 수 있게 됩니다.
아직 떡밥을 회수하지 않았습니다.
계속해서 다음 문장으로 가봅시다.
<<타원에서 두 초점을 지나는 긴지름을 가리켜 장축이라 하는데, 두 초점 사이의 거리를 장축의 길이로 나눈 값을 이심률이라 한다.>>
장축은 원의 지름에 대응하면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문제는 ‘이심률’이죠.
‘타원의 정의를 읽을 때처럼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이럴 땐, 체크하고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시죠.
<<두 초점이 가까울수록 이심률은 작아진다.>>
이 문장을 읽고, 필자의 설계에 감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심률이라는 단어는 2번째 문장을 읽고 떠올렸던 그림을 아주 절묘하게 압축적으로 담아냈기 때문입니다.
어째서죠? 하실 겁니다.
이심률. 이 단어를 한 글자씩 뜯어보죠.
’률‘은 비율.
’심‘은 중심, 핵심의 심
2번째 문장에서 했던 생각을 바탕으로
’이‘라는 글자의 축자적 의미를 가져오면 됩니다.
이 <= 이별, 이혼, 이륙, 이탈, 괴리, 격리, 거리, 분리할 때의 ’이‘입니다. 두 번째 문장에서 생각했던 ’떨어지다‘, ’떼어놓다‘ 라는 의미를 가져온 거죠. 그래서 이심률은 “이심된 정도를 수치화한 것”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아래 그림을 다시 보세요.
그렇다면, 두 초점은 원의 중심에서 이심된 두 점이죠?
마지막 문장을 다시 봅시다.
<<두 초점이 가까울수록 이심률은 작아진다.>>
두 초점은 이심된 두 점이고, 이런 두 점이 가까워지면 이심된 정도가 줄어드네? 그러면 이심률은 작아지네! 어라? 이 문장은 똑같은 얘기를 하네? 이렇게 되는 겁니다. 정확하게는 장축의 길이도 고려해야 하지만, 국어이기 때문에 필자가 의도한 방향대로 이해하면 그만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어떤 능력을 사용했나요?
정확하고 효과적인 어휘 사용 능력입니다.
축자적 의미를 활용해 의미를 엮어내는 능력이 왜 중요한지 아시겠죠? 이런 능력이 없으면, 마지막 문장을 도식화해서 처리할 수밖에 없죠. 이가 부실하니 잇몸으로라도 소화하려고 애쓰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기존에 알고 있던 어휘의 축자적 의미를 추출한 다음, 새로운 단어에 적용하고 조합하면서 의미를 창출해 보세요! 이 연습을 수시로 놀이처럼 해보시길 바랍니다. 틀려도 괜찮습니다. 다만 의미를 추론한 다음 꼭 사전에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꾸준히 하면 여러분의 어휘력이 폭발적으로 확장될 겁니다. 개인적으로 추론 능력의 시발점은 어휘추론 연습이라고 생각하며 마무리하겠습니다.
[[과학기술 지문이 어렵다면 2탄]]도 곧 나갈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다음 칼럼도 기대해주시길 바라며 "팔로우" 꾸욱~♥
양질의 글을 읽고 효용을 느꼈다면, “좋아요” 눌러주세요! “좋아요”는 앞으로 유익하고 재미난 글을 뽑아내는데 상당한 원동력이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대로 사라져버려
-
슬픈
-
연대 미련이 미치고팔짝뛸만큼 넘쳐흘러서 냥관광은 최소학점 10점이고 중대경영은...
-
지치면 우울해짐 0
영원히 잠만 자고 싶음
-
이화여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이화여대25][필수 활동 4가지]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이화여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이화여대학생,...
-
나가면 코노가서 불러야지 ㅇㅅㅇ... 오래도 걸렸군아
-
의대교수의 전망 0
제곧내로 의대교수의 전망은 어떻다고 생각하시나여 사실 필의패나 증원 등이 이루어지면...
-
암에 걸렸을까봐 걱정임
-
설마....
-
ㅇㅇ
-
나의 추구미 인데 나는 쭈꾸미임
-
내가 너무 열심히 해서 이두 상했데 그래도 뿌듯해
-
사잇값 정리는 닫힌구간 [a,b]에서 연속이고 f(a)=/=f(b)일 때 f(a)와...
-
M3관에 배정됬는데 이 관만의 툭징이랄께 있을까요??
-
흔한 이름인건 맞지만 이름 같은 친구랑 같은 학년은 처음이라 당황스럽네요 ........
-
수의대 등록금 내고나서 20분 뒤에 메인 수의대오지마세요 글을 보지만 않았어도 좋은 기분이었을 텐데
-
오르비 싫어하시나
-
1미리로 바꿨는데 하나 피우면 하나 더 마려움
-
4.5칸 4.5칸 3칸이라는 괴랄한 원서조합을 썼는데 결과적으론 성공해서 수능성적을...
-
2009년 노래래
-
패스 하나만 살려면 ㅇㄷ 패스 사는게 나을까요?? 미적생지입니다
-
강기분 끝내는데 1
강기본 다 끝내고 강기분 힐건데 최대한 빨리 끝내는데 얼마나 걸림?
-
학생 2명이 저를 싫어하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저 선생 ㅈ같다, 게속 애들 기강잡는다...
-
시대인대 논술 1
이번에 시대인재 인문재종반 등록했습니다. 수시에 고대 연대 논술을 쓰려고 합니다....
-
제발 20퍼라도
-
착각일지도
-
제발 유기나노공 6칸을 버린 내 선택을 후회하지 않게 해줘 해! 줘!
-
서강대 시반공 1
또 1명 빠졌네 ㄷㄷ 이게 하이닉스인가....
-
연금복권 ㅈ망
-
인문 자전 컷 어느 정도 되려나...
-
싸이렌 울림 히히
-
올랐나 떨궜나 궁금하네
-
으아ㅏ 빵 사올까 한 끼도 안 먹고 과외하고 옴
-
위에건 본인. 아래는 방금 본 거.. 같은 장소 맞음.
-
엄준식.jpg 0
-
짠거너무맛잇는데
-
닉 추천 바듬 1
머하지
-
15일은 추합 발표가 없다고 하니 16일에는 합격증 하나 받으려나
-
성대 합격 2
4칸 스나 성공! 거의 5칸이었지만…
-
경희끼얏호우! 2
14->8->3번 왤케 많이빠지냐 이것이 경X대학교의 위엄!! 경희끼얏호우!!
-
제가 추합 좀 높은 숫자인데.. 작년 기준으로 추합 60명까지 떴는데 지금 추합은...
-
뭐가 더 나은가요??
-
서울대 출신 연예인들은 많이 봤어도 '서울대 법대' 출신 연예인은 진짜 못 본듯... 1
의대나 치대 출신들도 간간히 나온 적이 있는데, 법대는 진짜 못 본듯...
-
2차 나옴 1
ㄱ
-
흐음. 4
g 빠르게 해석해보면,f>0일 때 f(x-3)*2f'(x),f=0일 때 0f f는...
-
형 또왔다 6
형은 뱃지수집을 많이해
-
생글 복습 어떤 방식으로 하시나요? 복습편은 어떤 방식으로 활용해야 할지...
-
읽어줭.. 0
저 두개 뭔 차이임?
-
ㄱㄱㄱ
선댓글 후감상
대충 배경지식으로 때려맞췄던 기억이 있는데 잘못 생각했던게 있었네요
선댓 감사합니다 ❤️
배경지식이 있다면, 활용하되 지문이 의도한 방향에 맞춰서 써먹으면 좋습니다 ㅎㅎ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댓글은 사랑입니다 ㅎㅎ
궁금한게 과학지문이 약한 것은 과학지문이 약한게 아니라 독해력자체의 문제라고 볼 수 있을까요? 제가 법경제 지문에는 강한데
헤겔의 변증법및 과학지문에 보기문제를 지속적으로 틀려 질문드립니다
법 경제 지문이 강하다면, 독해력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 칼럼에서 과학기술 지문을 읽을 때, 기하적 표상능력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법이나 경제지문을 읽을 때, 생각보다 기하적 표상능력이 요구되지 않습니다. 소재별로 요구되는 능력이 다릅니다. 기본적인 독해력 위에 소재별로 필요한 능력을 추가적으로 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철학 지문은 추상적인 것을 다룹니다. 추상적인 것은 표상하기 쉽지 않고, 순수 지성으로 논리적인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가장 어려운 소재가 철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철학이 특별히 어렵다면, 철학 대중서를 한 번 읽어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