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이란 무엇인가 9편 + <수국비 광고>
게시글 주소: https://app.orbi.kr/00038536482
저는 앞선 시리즈에서 효과적으로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학습 방법으로 ‘유형별 학습’을 잠깐 제시한 바 있습니다. 같은 유형을 같은 방법으로 풀어야 제대로 학습한 것이라는 말을 지겹도록 반복하고 있습니다.
8편에서는 좀 더 빠른 알고리즘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해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좀 더 통합적인 알고리즘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돌이켜보면 영어에 대해서 선천적인 재능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특별히 많은 노력과 시간을 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등급이 곧잘 나왔습니다.(그리고 절대등급으로 전환될 때 피눈문을 흘렸었죠) 저는 영어 때문에 그렇게 큰 스트레스를 받거나 고민을 오래한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삼수할 때 매우 중요한 사실을 인지하게 됩니다.
저는 여태 영어 문제를 풀면서 단, 한번도, 유형을 나눈 적이 없습니다. 당장 모의고사나 EBS 교재를 보면 영어 문제는 정말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저는 세 번째 수능을 칠 때까지 영어 문제를 굳이 다르게 구분한 적이 없습니다.(물론 세 번째 수능 영어도 처음 칠때처럼 아무생각 없이 그냥 읽고 풀었습니다)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요지추론, 빈칸추론, 제목추론, 글쓴이의 의도 등등 영어 문제는 수없이 다양한 질문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들어보니 많은 학생들은 이러한 다른 질문을 서로 다른 문제라고 판단하는 것 같더군요. 제게는 매우 충격적인 사실이었습니다. 그 많은 질문을 따로따로 어떻게 외우나 신기하더군요.
저는 단언컨대 단 한 번도 영어 문제를 질문별로 나눈 적이 없습니다. 그냥 속된말로 닥치고 풀었습니다. 그냥 읽고 이해해서 답을 체크했습니다. 요지문제는 이렇게, 빈칸문제는 요렇게, 제목문제는 저렇게 따로따로 나눈 적이 단 한 번도 없습니다.
문제가 요지를 묻던 빈칸을 묻던 제목을 묻던 저는 항상 일관되게 읽고 내용을 이해한 다음 답을 체크했었습니다. 제목문제는 이렇게 풀어야 해. 요지문제는 저렇게 풀어야 해. 그런 설명을 살면서 한 번도 귀담아 들은 적이 없습니다. 결국 영어시험에 나오는 글들은 읽고 이해하라고 써져있는 것들입니다. 제목추론 문제라고 해서 특별한 테크닉이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읽고 이해하면 장땡이었습니다.
이번에는 영어 단어 하나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acquired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 뜻이 있습니다. 습득한. 후천적인. 등등
하루는 영어 선생님이 어떤 지문을 설명하시면서 이런 말씀을 하시게 됩니다
“여기서 acquired는 ‘습득한’으로 이해하면 안되요. 여기서 쓰이는 뜻은 ‘후천적인’이에요”
이 설명을 들은 저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아니 습득하다는 거나 후천적이라는 거나 무슨 차이이지? 선천적이지 않으니까 습득했다는 것일테고, 그것은 결국 후천적이라는 말 아닌가? 서로 같은 뜻 아닌가?”(대표적으로 AIDS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이라고 합니다. 살아가면서 나중에 얻은 병이니까 ‘후천성’이라고 하는게 당연하겠지요?)
이때 제가 상대적으로 다른 과목보다 영어를 잘하는 비결을 스스로 깨닫게 됩니다. 저는 영어 공부에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다른 과목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을 들여서 공부했습니다. 영어 단어 외우는 것도 정말 귀찮아해서 거의 뜻을 한두개씩만 외웠습니다.
acquire이라는 영어단어의 뜻을 하나로 외울 수 있는데(습득한), 이것을 굳이 두 개로 외우면(습득한, 후천적인) 어떤 효과를 가져올까요? 우리의 뇌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머릿속에 집어넣을 수 있는 것이 무한하지 않습니다. 한 개를 새로 얻게 되면 무엇인가 한 개를 포기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것들이 하나씩 쌓이면 우리 뇌에게 부담이 됩니다.
(한 단어에 정말 다양한 뜻이 적혀있는 영어사전.
출처 : http://dpg.danawa.com/bbs/view?boardSeq=28&listSeq=943095&past=Y)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운다고 상상해봅시다.
철수가 “엄마 나 오늘 1등 먹었어” 라고 말했다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때 이 외국인은 어떻게 해석할까요? 1등을 칼로 썰어서 스테이크처럼 소화시켰다고 해석할까요? 아닙니다. 아 그냥 1등을 했다는 말이겠거니 하고 넘어갈 것입니다.
‘먹다’를 영어로 번역하면 첫 번째 뜻으로는 당연히 eat가 나오겠지만, 곁가지 뜻으로 다양한 단어들이 실려있을 것입니다. achieve, get 등등..
그 외국인이 ‘먹다’의 영어 뜻을 일일이 서로 다르게 외우면 이것은 분명 큰 스트레스이고 비효율입니다. 쓸데없이 더 외우다가 오히려 가장 중요한 핵심을 까먹을 수도 있습니다.
저에게 가상의 친구 철수가 있습니다. 저는 철수에 대해서 다양한 논평을 했습니다.
“철수는 좀 쳐맞아야 해”
“철수는 정신을 차려야 해”
“철수는 교육을 더 받아야 해”
“철수는 말 좀 들어야 해”
“철수는 욕을 좀 먹어야 해”
당연히 이 말들은 같은 말들입니다. 비록 달라보이는 포장을 해 놓았지만.
달라보이는 것들이 사실 똑같다는 것을 아는 것. 그것이 바로 통합적인 알고리즘입니다. 달라보이는 것을 똑같이 봄으로써 우리는 한정된 자원과 시간을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어 문제를 굳이 유형을 나눠서 따로따로 외우는 학생은 저보다 영어시간에 더 많은 에너지를 쏟아 부을 것입니다. 시간도 더 오래 걸릴 것이며 정답을 틀릴 확률 역시 쏟아넣는 노력에 비해 클 것입니다.
어떤 문제를 보고 “아 이 문제는 내 머릿속에 있는 목록 중에 1번->4번->6번->2번->1번->8번->7번의 유형이니까 이렇게 풀어야 해”라고 생각하는 학생과
“아 이 문제는 내 머릿속에 있는 목록 중에서 1번->4번->6번 유형이야”라고 판단하는 학생 중에 어느 쪽이 좀 더 편하고 시간과 노력을 아낄 수 있을까요? 첫 번째 학생은 옆에서 보는 사람도 피곤할 정도입니다. 두 번째 학생은 그냥 잠깐 고민하고 문제를 넘어갈 수 있습니다.
도구의 수는 적으면 적을수록 좋다는 것입니다. 닭 잡는 칼로 소까지 잡는 백정은 정말 뛰어난 백정일 것입니다. 굳이 소 잡는 칼을 따로 챙길 필요 없이 닭 잡는 칼 딱 한 개만 가지고 다니면 됩니다. 한 가지 도구로 더 다양한 상황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고수입니다. 연장을 한 개만 들고 다니니 깜빡 잊고 어디 두고 올 일도 없고 무게도 가벼워 빨리 움직일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은 점점 나눠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점점 합쳐지고 종류가 적어져야 합니다. 학생들은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 다양하고 세세한 알고리즘으로 분화시키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는 전혀 잘못된 생각입니다. 하면 할수록 알고리즘의 종류는 줄어야 하고 통합되어야 합니다.
왜 내가 스스로 영어를 잘했나? 에 대한 답은 나중에서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영어를 대할 때 다른 과목에 비해서 현격히 적은 개수의 도구로 다양한 상황을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었습니다. 영어뿐만이 아닙니다. 각 과목의 고수들 또한 적은 도구로 다양한 상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 수국비 광고를 조금만 하겠습니다.
원래는 전자책을 넘어서 종이책까지 출간을 예상했었지만.... ㅠㅠ 안타깝게도 종이책 출판은 여러 사정들이 겹쳐서 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ㅠㅠㅠㅠ
현재 제 <수국비> 전자책은 오르비 전자책 아톰북스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굉장히 저렴한 가격으로 총 분량 800페이지의 전자책입니다. 여기서는 제가 여태 말했던 '지혜, 인지'를 비롯하여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접근법, 수능 출제자들의 의도에 따라 주제를 중심으로 문제를 빠르게 풀어내는 법, 글의 구조를 분석하고 어디에 집중해야하 할 지 등을 총망라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어떠한 수능 국어 비문학 관련한 자료 중에서도 가장 뛰어나다고 감히 자부합니다. 절대로 실망하지 않으실 것이리라 보장합니다.
https://docs.orbi.kr/docs/7325/
https://docs.orbi.kr/docs/7327/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https://orbi.kr/00024314406 - 6편
https://orbi.kr/00027690051 - 번외편 문과와 이과
https://orbi.kr/00030479765 - 7편
https://orbi.kr/00033799441 - 8편 + <수국비> 광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답답해서 단톡으로 넘어감 저번에 링크드린 거기로 ㄱㄱ
-
죽는줄알앗네
-
진짜 wwe중에서도 좆븅신같아서 못하겟다 이건
-
왜 아직까지..
-
글쓰는데 2분걸림
-
평생 쓰고싶어
-
아니다 에휴 1
이런거 써서 뭐하냐
-
집앞 5분거린데 추워서 나갈 엄두가 안나요..
-
노을이 생각나는
-
본인 노력으로 일군것도 아닌데 그걸 왜 자랑하는거임? 그것도 그냥 기만도 아니고 꼭...
-
놀랍게도 배엔 그닥 이상없다 요즘 이게 일상이 돼서 그런가
-
다 그런건 아니지만 현실감각있었던 자녀가 부모님한테 목표 연봉이 5000이라고 하면...
-
우리 부모님 일 안해서 내가 너무 가난하게 살아 ㅜㅜ 7
엄빠가 가진게 건물 하나밖에 없는데 월세 받는거 말고 엄빠 일안함... 예전에 아빠...
-
5시에 ㅇㅈ함 3
님들이 아는 그 눈이 아님ㅋㅋㅋㅋㅋㅋㅋㅌㅌㅌㅌㅋㅋ 5시인 이유는 공부할게 남아서…ㅠ
-
현재 미적분 시발점 수강중인 예비 고3입니다. 제가 중학교 때 거의 공부를 안하다가...
-
하이라이트 개잘함 ㅎㄷㄷ 브금도 챌린저끼리의 게임 같은 웅장함이 있어서 보는 맛이 쏠쏠함
-
물론세전 원망한적은 없음
-
여기서 보는 사람이면 아마 높은 확률로 남르비일텐데 요즘 과단톡 보고 눈을 의심중임...
-
혼자 미국 뉴욕 맨해튼에 살고있나 갑자기 빡치네
-
귀찮네 돈도 별로 없어...
-
미적분 시발점 0
현재 미적분 시발점 듣고있는 예비고3입니다 중학교 때 공부를 거의 안하다가 고2 때...
-
얼마전에 아빠 연봉 들었는데 이정도면 중산층은 되는건가요..?
-
유교드레곤임 ㅇㅇ…
-
ㅇㅈ하고 5
싶다 눈만 근데 눈만 있으면 좀 무서울듯 그치
-
손 검지에 첫째마디라고 해야하나 암튼 거기 살 두툼해서 씹?기 좋은데 수학문제...
-
청각적 쾌감이 요즘 나오는 앵간한 밴드곡 못지않음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하나는 GUI의 UI가 진심 개구리고 하나는 속도가 너 무 느림 근데 컴퓨터 켜놓으면 되니까 머..
-
살면서 했던 가장 큰 ㅈㅎ는 롤 계정 삭제임
-
담배 피지 마라 2
-
술 마셔서 그런지
-
삶을 잘산 것 같습니다. 그냥..자랑하고 싶었어요 1년사이에 많이 성장해서
-
ㅈㅎ해본적없음 5
ㅈㅎ하는 사람이랑 만난적은 있는데 정신적으로 힘들더라
-
노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랩 ㄴㄴ 일본노래 ㄴㄴ
-
졸린다졸려
-
경평ㅋㅋㅋㅋ 2
다다디디두두
-
기습 기상 2
배아파서
-
여자심리좀 11
전여친이랑 헤어진지 반년정도 됐는데 제가 헤어지고 3~4개월정도 뒤에 여사친이랑...
-
몸이 상하냐 안상하냐 차이
-
새벽담배 못참지 7
술도마셧고..근데 넘추워
-
저 망한거 맞죠...?
-
바이러스인줄 알았음 ... 그래서 어린이집에서 베토벤 바이러스 틀면 마이너스 노래는...
-
제발요
-
뭐 그럴수도 있긴하지 나도 결핍있어서 커뮤 계속하는거기도 하고
-
1. 화학러들 화1 ㅈ되는거 실시간으로 관전하다 결국 부담감을 못 이겨내고 화2로...
-
지금까지 버틴 만큼만 버티면 수면 패턴 정상화 가능
-
링크 클릭하시고 # 오르비 글 클리너 버전 alpha by 54fox...
단어책에 쓰여 있는 여러가지 뜻을 하나로 받아들이는 게 중요하더라고요
선생님 수국문은 없나요?
그리고 종이책으로 발간할 예정은 없으신가요?
네 아쉽게도 제가 대학생인데 ㅠㅠ 이제 제 전공 공부하고 또한 출판은 어른들의 사정으로 발간이 힘들거 같습니다 ㅠㅠ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여 죄송합니다 ㅠㅠㅠ
아쉽네요ㅠㅠ 알겠습니다
항상 정성글 ㄷㄷ 감사합니다 잘 읽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