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파 링 [878818]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21-02-08 21:20:37
조회수 2,378

국어) 국어공부 안하는 애매한 재능러에게 (3)

게시글 주소: https://app.orbi.kr/00036052030

(252.0K) [201]

4개년 문학.hwp

*국어공부 안하는 애매한 재능러*

(1) 1~2 때는 백분위 100, 99를 유지했으나, 3 모의고사 백분위 96~97사이에서 진동하는 학생

(2) (1)에 해당하는 학생 중 대다수가 하는 국어공부(인강, 기출분석, 양치기 등)를 해보지 않은 학생








저는 최근에 이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글 몇 개를 작성했었습니다.








지난번에는 재능러를 위한 국어 공부를 간단하게 표로 제시했었는데요,


https://orbi.kr/00035830439/ <- 링크


표 중, 문학 부분만 발췌해 왔습니다.




재능러의 학습 목표
()재능러의 학습 목표
문학 기출 분석

1) 어디까지 선지가 나올 수 있는지 확인

(명확한 오답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 근거는 자신이 파악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 인지)


-> 고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됩니다


2) 자신이 작품을 읽는 방식 간단히 교정


-> 1)에서 선지를 확인하며 '필요한 내용'에 대한 감이 올 겁니다

'능력키우기 + 재능러의 학습 목표

학습 기간
능력을 확인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학습 기간이 짧음
능력을 쌓아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재능러의 학습 기간보다는 길 수밖에 없음




오늘은 이 부분을 구체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


(지금부터 편의상 '국어공부 안하는 애매한 재능러'를 '재능러'로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재능러의 문학 능력치


제가 본 재능러들은, 지문에서 '객관적인 요소'를 뽑아내는 건 잘합니다. 문제도 술술 풀고요. 그러나 이들도 흔히 '뇌절'이라 하는, 막히는 지점이 생깁니다. 재능러들이 문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이 지점에 있습니다.








막혀도, 현명하게 고민하자


문학은 무조건 사실 판단+<보기> 적용에서 정오가 갈린다고 확신합니다. 4개년 기출에서 그렇지 않은 적은 제 기억에 없었기 때문이죠. 그러나, 재능러는 그 확신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공부를 안해봐서, 지금까지 뭐가, 어떻게 나왔었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문학에서 막혔을 때 현명한 고민은,


'내가 놓친게 있나?' 하며 지문으로 돌아가거나 '선지를 대충 봤나?' 하며 선지를 뜯어보는 것이지만, 확신이 없는 재능러는 생각이 운 좋게 거기까지 미치지 않는다면 '내가 모르는 뭔가 있나?', 또는 '이 개념어의 적용 범위가 다른가?' 같은 소모적인 생각에 머무릅니다.


따라서, 재능러에게 문학 공부의 목적은 소모적인 생각을 걷어내고, 막혀도 현명하게 고민하는 것입니다.








재능러에게 문학은 분석의 대상이 아닌, 확인의 대상이다


어떻게 하냐고요? 문학 문제를 쭉 풀고, 답의 근거를 모조리 눈으로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한눈에 들어오는 정리가 가능하도록 위에 4개년 문학 선지를 올려두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절대로 주관적인 요소가 답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직접 확인하는 것만으로, 매우 짧은 기간 안에 고민이 효율적으로 바뀔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선지를 최대한으로 의심해보자


구체적으로, 확인의 과정에서 선지를 최대한으로 의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지를 단어 단위까지 끊어서 일일히 의심해보면, 본인이 원래 가지고 있었던 판단의 선이 명확해질 겁니다. 판단하지 않아도 되는 지점을 정리하며 얻어지는 시간 단축은 덤이고요.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기출문제/정답표 만으로 재능러 분들은 충분히 문학을 정복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을 마친 재능러 분들도 문제를 풀 때, 헷갈리는 두 개의 선지가 남을 때가 있죠. 저도 그랬습니다.


지문에서 답이 안보이고, 선지판단 과정에서도 두 개의 정답이 골라진다면, 이젠 두 선지를 비교할 수밖에 없습니다. 확실히 정석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 방법밖에 남지 않았다면, 이걸로라도 정답을 높은 확률로 골라내야겠죠.








내 생각을, 생각하자


생각을 생각하는 것은 그것을 위한 작업입니다. 두 선지를 골라낸 사고과정을 머릿속에 놓고 비교하여, 무엇이 더 타당한지 비교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요. 연습이 확실히 필요합니다! 저도 2주 가량 문학 문제를 놓고 생각해보는 방식으로 연습했습니다.


그러나 연습이 어느 정도 되면, 선지를 각각 보면 둘 다 답 같으나, 같이 보면 더 타당한 것이 보이는 현상을 체험할 수 있을 겁니다.








이정도 선에서 재능러 분들은 문학을 확실히 다 맞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노베이스 재능러' 상태에서 한달 가량의 공부로 수능 문학을 확신을 가지고 다 풀어낼 수 있었기 때문이죠.








저는 '국어공부 안하는 애매한 재능러'였다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성적을 올린 경험이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물어보세요!




(9모 원점수 89, 백분위 95 -> 수능 원점수 98, 백분위 100)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