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고정 3등급이하의 가장 주된 특징
게시글 주소: https://app.orbi.kr/00030656832
사실 이 글은 오르비에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만휘에 올린 글이고,
정말 수학 못하는 (문과 고정 3등급이하) 친구들에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만약 이런 친구들을 가르치고 있는 과외 선생이라면 정독하셔도 좋습니다.
수업 영업 비밀 하나 풀어놓습니다.
길게 쓰지 않겠습니다. 길게 쓰면 너무 오래걸려서요..
문과 고정3등급이하와 2등급이상의 가장 주된 차이는
문제 읽는 과정입니다.
아닌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그렇습니다.
만약 본인이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3등급이하라면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거고
여기에 해당하는 3등급이라면 이 습관 못고치면 수능 여러번 쳐도 계속 3등급일겁니다.
문과 고정 3등급이하와 고정 2등급, 문제를 누가 더 빨리 읽을까요?
답은 아이러니하게도 문과 고정 3등급이하입니다.
(거의 가형 고정 1등급컷(=나형 고정 96~100점)이랑 읽는 속도 비슷합니다.)
문과 고정 3등급이하와 고정 2등급, 누가 더 이해력이 좋을까요?
답은 당연히 문과 고정 2등급입니다.
잘 추론해보시기 바랍니다. 웬만하면 친절하게 설명하지만,
3등급이하는 평소에 비판적 독해, 사고 독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 제가 제시한 두 정보를 토대로 생각해보세요.
위 현상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보고나서 아래로 내려가시기 바랍니다.
문제 발문을 읽을 때, 3등급 이하와 2등급이상이 사고하는 방향이 아예 다릅니다.
2등급 이상은 문제 자체를 독해해서 푸는 반면
3등급이하는 문제 생김새 자체를 보고 머릿속에 본인이 푼 비슷한 유형을 가져옵니다.
즉, 글(문제)이 가리키는 내용을 이해하는 게 아니라, 그냥 글자 생김새를 보고 풀이를 떠올립니다.
달을 가리키면 달을 봐야하는데, 달이 아니라 손가락을 보는 겁니다.
어떤 문제에선 달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어떤 문제에선 깃발로 달을 가리킵니다.
2등급은 둘 다 달을 가리키는 문제구나,라고 접근하지만
3등급은 하나는 손가락이고 하나는 깃발이네로 접근합니다.
솔직히 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정말 큰 영업 꿀팁 풀었습니다.
본인이 과외 선생이고 학생이 3등급이하인데
학생이 너어무 멍청해서 답답하다면
학생이 문제를 처음보고 문제를 읽을 때 어떤 식으로 생각해나가는지 살펴보세요.
아마 깜짝놀랄겁니다.
이 글을 읽는 사람이 3등급이하 수험생이라면
본인이 풀 수 있는 문제에 대해, 그 문제의 발문을 전부 이해하고 푸는건지 생각해보십시오.
하나 퀴즈드리겠습니다.
비문학 읽는게 더 빠를까요? 수학 문제 읽는게 더 빠를까요?
3등급이하는 수학문제를 더 빨리 읽고
2등급이상은 비문학을 더 빨리 읽습니다.
비문학에 비해, 수학문제를 훨씬 더 비판적 독해, 사고 독해해야 된다는 소리입니다.
어떻게 할 지 잘 모르겠다는 3등급이하도 있을 거에요.
본인을 탓하세요.
2등급이상은 초등학교부터 그렇게 쭉 공부해온거고,
3등급이하는 대부분 중학교부터, 혹은 고등학교 1학년부터 이상하게 공부한 경우가 많습니다.
당연히 익숙하지 않고 어떻게 할 지 감이 안 잡힙니다.
첫째, 본인이 문제 읽는 방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세요.
둘째, 본인이 풀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정말 발문을 다 이해하고 푼건지 하나하나 뜯어보세요.
셋째, 본인이 아깝게 못 푼 문제, 혹은 답지보면 이해가는 문제에 대해
발문 읽는 과정을 살펴보세요.
본인이 못 푼 문제라면, 일반적으로 다음 중 하나일겁니다.
1. 발문에서 이해 안 가는 게 있었음. 혹은 이해를 너무 얕게 한 게 있었음
2. 발문을 보고 특정 개념/풀이를 못 떠올린게 있었음
3. 기타
3은 극상위권에게나 일어날 정도로 난이도 있는 문제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고요
문과 1등급까지는 대부분 1-2에서 다 걸립니다.
만약 1이라면 다시 차근차근 읽으면서 이해하시고요. 그래도 이해 안 간다면 왜 이해안 가는지 차근차근 생각해보세요.
만약 2라면 이제 여러분이 좋아하는 오답을 진행하면 됩니다.
오답을 할 때에는 단순히 답지 풀이 보고 이해하고 넘어가는 게 아니라, 그 풀이를 떠올릴 때 단서가 되는 그 조건이 뭐였는지를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조건을 문제에서 처음 봤을 때 어떻게 접근했어야하는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어렵나요?
네, 아마 2등급 이상은 제가 말하는 게 무슨 의미인지 알거고 좋은 팁도 많다고 느꼈을거고
3등급이하는 너무 과한거 아닌가?하고 생각할 겁니다.
당연합니다. 3등급이하는 발문을 해석하는 연습을 제대로 해본 적이 없거든요..
따라서 본인이 3등급이하라면
일단 발문 읽는거부터 신경씁시다.
이게 바로 문과 2등급과 3등급사이에 커다란 벽이 있는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프리퀀시 외우고 있는데 초반부는 너무 기초적인 단어가 많던데 좀 그부분은 뛰어넘고 외워도 ㄱㅊ을까요
-
. 0
배고파.. 라면 먹고 싶다 ㅇㅁㅇ 허허
-
다시 옯창들 모임 시작이네
-
미친
-
2-3시까지 읽다 잘건데 추천좀 아포칼립스나 투자물이나 연예계물로 좀..
-
잇올 빌런 2
공용공간 12시간 상주<-이건 솔직히 알빠아님 근데 거기서 뭔 콧노래? 자꾸 부르고...
-
매월승리 공강때 0
올오카 끝나고 T.I.M 나오기 전에 강의 안올라올때도 매월승리 푸는건가요?
-
열정 넘치던 난 어쩌다가 이리 됐는가.....
-
내일은 반드시.. 경제를 풀겠읍니다
-
어디가는게 나을까요..
-
자기 고아인 이유 20줄로 꾹꾹눌러담았노
-
저출산대책으로 2
자녀 5명 출산 남자들 군면제 자녀 4명 출산 공군 프리패스 자녀 3명 출산 공군...
-
1단 잠을 자 2
10시에 일어났지만 1단 잠을 자
-
제곧내입니다
-
안녕하세요? 0
저는 안녕못해요
-
송도 좋은점 11
바다가 학교 근처면 공강날 다녀올수잇겟네 예쁘것다
-
수능 전날에 11시쯤 누워서 12시쯤 간신히 잠들었는데 2신가 더워서 깨고 4시에...
-
일단 이번 달까진 한완기 뺑뺑이 돌리고 있을 건데 3월에는 나오겠지
-
풀기 전에 머리로 풀이과정 끝까지 설계해보기 아는 건 아는 거대로 정리되고 풀이가...
-
굿나잇 0
자야지
-
그런 말을 많이 들어요 그래서 남녀 상관없이 절 괴롭힘 ㅜㅜ 반응이 맛있대요
-
이렇게된이상커리추천받음 17
마음에들면고려(연세반댓말아님)해볼게요
-
설대를 노리기에는 투투분들에 비해 불리하고 다른학교 의대를 노리기에는 원원분들보다...
-
이거 보통 어디가나요
-
삼반수는 서울대를 할 수 있는것일까. 라는 망상
-
수학 2등급 이상의 실력이시면 기출문제 보자마자 풀이가 떠오르는 수준이신가요?...
-
휴
-
난 만둔데 。◕‿◕。
-
저도 대학 선호 순위… 10
홍>>>약>=의>치=설>>연고한성서중경시건동 올해 유일하게 붙여준 대학 홍대...
-
경합권 불안불안한 점수인 거 같은데 면접은 나쁘지 않게 봤고 1단계 2배수 합격자...
-
복근 핥핥 2
우하하
-
사실 뀨뀨대가 가고싶었던 것인가 난
-
아니 진짜 나 한번도 못본거같음 1타도 먹었었는데 누가 드리블 풀고있으면 ㅈㄴ 반가울거같음..
-
전전쓸걸 0
하…왜 법대썻지
-
투표 수정이 안되어서 재업재업 선택도 2개 가능
-
국어 과외 1
국어 잘 안오른다는 말이 많던데 과와로도 올리기 쉽지않나요?
-
님들의 생각은 어떠심? 엡델은 넣어봤자 이해할 수 있을까 2 3은 동의
-
독서 기준 수능이나 평가원 정도 레벨에서는 그냥 읽고 잘 풀면 되던데 글에...
-
의치수약설한고연한서성중시경외건동홍 입결아니라 진짜 개인적인 선호순위입니다~
-
가질 수 없는 사람이 있어
-
ㅈ된건가
-
라면 투탑 2
불닭틈새ㅂㅂㅂㄱ
-
연고경=설사범(ㅈㄴ고민하다 후자갈듯) ^설인문 ^ 설사과=지방한 (ㅈㄴ고민하다...
-
본인 선택과목 언매 미적 사문 세지
-
오늘 지하철 탔는데 옆자리 아저씨.년이 머리를 내방향으로 존나 터는 거임...
-
지거국 진학사 2
지거국 진학사 안돌리고 넣는 분들은 작년 재작년 컷만 보고넣는건가요..?
-
풀것들이 많나요???
-
고개를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
투투가 답임?
요약 : 2등급 이상은 해석하지만 3등급 밑은 그저 떠올리려고 한다